Things to read in English

Stephen Krashen :12. The power of reading

로메쌤 2024. 2. 9. 02:54

안녕하세요~

로메쌤입니다. ^^

 

저는 개인적으로 언어습득을 할때

가장 좋은 방법은 독서라고 생각하는데요.

독서를 통해 생각할 거리들을 가질 수 있고

그 생각을 통해 말하고 누군가와 대화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즉 Input이 없이는 output

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와 같은 의견을 가진 언어학자가 있어요.

바로 스테판 크라센 (Stephen Krashen)이예요.

한국에서 언어학습쪽에서는 이미

너무 유명한 분이시죠.

 

오늘은 그분의 기사를 해석 해볼거예요~!!

 


 

 

(108) Stephen Krashen on Language Acquisition - YouTube

 

The power of reading, or the consequences of testing language skills

읽기의 힘, 언어능력을 시험한 결과들

Speaker; Stephen Krashe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Stephen Krashen devoted his presentation and follow up discussion to research done on the effect of “reading exposure,”

스테판 크라센은 읽기 노출의 영향에 관한 연구에 대해 토론 하는 것과 발표에 집중했다.

 

which he defines as the reading children and adults do for fun and personal interest.

그것은 아이들과 어른들이 개인적인 흥미를 가지고 즐겁게 있는 것 이라고 그는 정의 한다.

 

The results of the research done so far indicate that people who read for pleasure do significantly better in all areas of language uses: reading comprehension, vocabulary development, grammatical correctness, writing style, and spelling.

지금까지 연구된 결과는 즐거움을 위해 읽는 사람들이 언어 사용의 모든 분야에서 상당히 더 낫다는 것을 알려준다. : 읽기 이해, 어휘 발전, 문법의 정확성, 문체 그리고 철자까지

 

These findings point to the importance of having the opportunity to read for pleasure without the additional baggage of assigned readings, comprehension questions, book reports, vocabulary drills – all the trappings of standard academic readers.

이 조사결과들은 일반적인 학습을 하는 학생들의 모든 과시적인 요소들인 어휘연습, 독후감, 이해력 질문, 정해진 리딩 등의 추가적인 짐 없이 즐거움을 위해 있는 기회를 가지는 것의 중요성을 지적한다.

 

Krashen maintains that it is this opportunity which is lacking in most educational system.

크라센은 그것이 대부분의 교육 시스템에서 부족한 기회라고 주장한다.

 

 Krashen emphasized th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and writing.

크라센은 쓰기와 읽기 사이의 연관성을 강조한다.

 

He noted that it is not the number of books read which is a predictor of academic writing success;

그는 학문적 글쓰기의 성공의 변수가 책을 읽는 권수는 아니라고 강조한다.

 

rather, it is the level of sophistication of that reading which predicts how successful a reader and writer one will become.

그것은 얼마나 훌륭한 독자 또는 글 쓰는 사람이 될 것인지 예상하는 읽기의 세련됨의 레벨이다.

 

But even a reader who never goes beyond the level of comic books will achieve minimal success in writing, and greater success than one who has never done pleasurable reading.

하지만 만화책 레벨 이상을 읽은 적이 없는 독자는 즐거움을 위해 책을 읽는 것을 해 본적이 없는 사람보다는 쓰기에서 최소한의 성공 그리고 더 큰 성공을 얻을 것이다.

 

Krashen cited several research studies which support the link between reading and writing.

크라센은 읽기와 쓰기 사이의 관계를 지지하는 몇몇 리서치 연구들을 인용했다.

 

Surprisingly, not a great deal of research  has been done in this area.

놀랍게도, 이 분야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The first research Krashen discussed is on sustained silent reading (SSR) programs, in which school children pick their own reading material and read for varying amounts of time each day, through they are not held accountable for their reading.

크라센이 논의한 첫번째 연구는 지속적으로 조용히 읽는 프로그램이 관한 것이다. 그 프로그램에서는 그들의 읽기에 책임지지 않는 식으로 학교 학생들이 자신의 읽을 거리를 고르고 매일 책을 읽는다.

 

Most of the studies Krashen referred to show SSR to be superior to traditional classroom reading skills programs.

크라센이 언급한 대부분의 연구는 SSR이 전통적인 교실 읽기 프로그램보다 뛰어나다는 것을 보여준다.

 

In one particularly noteworthy experiment, fourth through sixth grade students received SSR as their total English program.

한 특별히 주목할 만한 실험에서, 4~6학년 학생들이 그들의 전체 영어프로그램으로 SSR을 받았다.

 

By the end of the second year, SSR students were rated superior in all aspects of English tested to students taught in conventional ways.

2학기 말 즈음, SSR 학생들이 관례적인 방식으로 가르침을 받았던 학생들 보다 영어 시험의 모든 면에서 훨씬 뛰어 났다.  

 

Krashen concluded that, at worst, SSR produces the same results as a standard language arts program.

크라센은 SSR은 아무리 못해도 일반적인 언어 프로그램과 같은 결과를 낳는다는 결론을 내렸다.

 

At best, if the system operated a year or longer, it works better than conventional programs.

잘하면, 만약 그 시스템이 일년 또는 그 이상 진행된다면, 그것은 전통적인 프로그램보다 더 잘 작동한다.  

 

 Citing another series of studies that show the superiority of self-selected reading over assigned reading s in a traditional reader,

지정된 것을 읽는 전통적인 독자들 보다 스스로 선택해서 읽는 것의 우월성을 보여주는 또 다른 연구들을 언급하며,

 

Krashen pointed out that students are more enthusiastic and better disciplined in self-selected reading group, gains in reading comprehension and other skills were compared to norms on standardized tests,

크라센은 SSR 그룹이 더 잘 훈련되고 더 열정적이며 표준적 시험 규범과 비교되는 읽기 능력과 스킬도 더 나았다.

 

Here again, the results in the majority of cases were positive for self-selected reading.

대부분의 연구들의 결과는 SSR에 긍정적이다.

 

Even in the area of spend a great deal of time teaching spelling, the time spent produces no appreciable gains in ability.

심지어 스펠링을 가르치는데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은 능력에 주목할 만한 이점은 만들어내지 못했다.

 

In fact according to one study, by the seventh and eighth grades, those students who had received no systematic spelling instruction scored the same on spelling tests as students who had been exposed to several different spelling programs in the preceding school years.

사실은 한 연구에 따르면, 7~8학년 학생들이며 체계적인 스펠링 지도를 받은 적이 없는 학생들이 선행학습을 하는 몇몇 다른 스펠링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학생들과 같은 점수가 나왔다.

 

Krashen’s conclusion is that the time given over to spelling and the teaching of other reading skills in many school districts could more profitabley be devoted to self-selected programs of SSR.

크라센의 결론은 학교에서 가르치는 스펠링이나 다른 리딩 스킬을 가르치는 시간을 SSR프로그램에 써야 한다는 것이다.

 

It would also remove a lot of the burden now placed on teachers.

그것은 선생님들에게 지워지는 많은 부담감 또한 덜어낼 수 있다.

 

 Krashen is convinced that reading for pleasure and interest is the most important educational component and the most reliable predictor of future academic success.

크라센은 흥미와 즐거움을 위해 읽은 독서는 교육부분에서 가장 중요하고 미래 학문적인 성공의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요소라고 확신한다.

 

Reading is the one skill which has the most predictable and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all language conventions of writing are gained through pleasurable reading,

읽기는 모든 언어 발달에  긍정적이고 예상 가능한 영향을 줄 수 있는 하나의 기술이다. 쓰기는 즐거운 독서를 통해 얻어진다.

 

he concludes that tests of writing are actually tests of reading.

그는 쓰기 시험은 사실은 읽기 시험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결론은 흥미위주로 꾸준히 리딩을

하면 언어를 깊고 넓게 습득

할 수 있다는 거예요~!!

 

내가 좋아하는 분야를 독서도 하고

영어실력도 늘리고 일석이조~!!

사실 일석 몇조가 될거예요~!!

영어리딩 안 할 이유가 없겠죠??

 

 

 

 

오늘부터 시작해보아요~!!!